♠세상사는 이야기(코람데오)♠

희망가 外 2곡(얫노래 연주)

비타민님 2017. 2. 13. 18:44


희망가

황성옛터

하룻밤 풋사랑


국내에선 1921년에 발표되어 1930년년대에 크게 유행한 대중가요의 고전이지만 

원곡은 1850년 영국 춤곡을 바탕으로 미국인 제레미 인갈스가 작곡한 

'우리가 집으로 돌아올 때'라는 제목의 찬송가이다.

이 노래가 1910년에 일본에 전래되어 미스미 스즈코(三角錫子)라는 여교사가 

이 곡에 사고로 죽은 같은 학교의 여학생들을 추모하는 본인의 자작시를 붙여서 

'새하얀 후지산의 뿌리'(眞白き富士の根)라는 진혼가로 바뀌어 

그들의 추모식때 그학교 학생 4명이 불렀다.
국내에는 1910년에 기독교 신자 임학천이 아래에 적혀저 있는 가사로 작사를 하여 

<이풍진 세상을>이란 제목으로 이채선, 박류파 두 민요가수가 1921년에 발표를 하였다. 

여러 악보집에 여러가지 제목으로 실려 소개되었다. 

이를 당시 여러 악사나 창가가수 민요가수들이 불러 대중가요로 보급되었고 

'탕자자탄가'(蕩子自歎歌) 등의 원래의 비탄조의 제목들도 '희망가'로 바뀌게 된다. 

특히 1930년 국내 최초의 대중가수 채규엽(蔡奎燁)의 레코드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제목은 희망가지만 노래는 우울하고 비탄적인 분위기이고 

가사 내용도 다분히 식민지 시대의 암울한 사회를 반영하여 

한탄조의 현실도피적 염세적인 색채가 짙다. 

'절망가'라는 별명이 오히려 더 적절하다. 

해방 후에도 1970-80년대 등 현실이 암울할 때 주로 유행하였다.


1절) 이 풍진(風塵)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푸른 하늘 밝은 달아래 곰곰히 생각하니
세상만사가 춘몽 중에 또다시 꿈같다


2절)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이 무엇이냐

부귀와 영화를 누렸으면 희망이 족할까
담소화락(談笑和樂)에 엄벙덤벙 주색잡기(酒色雜技)에 침몰하니
세상만사를 잊었으면 희망이 족할까


player.swf
3.25MB